🎬 # 1. INTRO

이번, 리액트 웹 전환 프로젝트를 하면서 아마도 가장 고려해야 할 것이 많았던 것이 지도 작업이었습니다. 먼저, 어떤 의사 결정을 토대로 현재의 지도로 전환을 이뤘는 지부터 시작해서 기술적인 고민, 함께 고민해 볼 지점, 그리고 마지막 느낀 점으로 마무리 하겠습니다.

🤔# 2. 기술에는 다양한 의사 결정이 필요하다.

1)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기술들.

여러 분들께서도 잘 아시겠지만, 국내,외 가장 많이 서비스가 되고 있는 대표 3사의 지도 서비스입니다. 그래서 저 역시도 이 3가지 지도 중에 어떤 것을 쓰는 것이 우리 서비스에 더 이로울 까에 대한 고민이 컸습니다.

Untitled

1. 요금적인 부분.

먼저, 3사의 사용량에 따른 과금 비교입니다.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생각한다면, 네이버나 카카오쪽이 더 우위에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
Untitled

BUT….

물론 비용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, 우리 서비스에 대한 최적화가 더 우선순위가 높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그래서 조금 더 실제 사용성의 측면을 살펴보기로 했습니다.

2. 사용성의 측면.

사실, 구글 지도는 국제적으로 쓰이다 보니, 사용량이나 유지 보수 측면에서 네이버, 카카오보다는 훨씬 앞서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.

구글 은 리액트 사용자의 높은 수요에 맞춰 리액트용으로 어떻게 사용하는 지까지 가이드를 해 놓고 있었습니다.

Untitled